2019 German-Korean THEOLOGICAL SYMPOSIUM 6th Annual Meeting

독일 튀빙겐대학교와 장신대학교와 서울신학대학교가 함께 하는 한독신학심포지엄이 오는 9월 27일(금)~28일(토) 양일에 걸쳐 서울신학대학교 국제회의실에서 열린다.

독일 튀빙겐대학교와 장신대학교와 서울신학대학교가 함께 하는 한독신학심포지엄이 9월27일(금)~28일(토) 양일에 걸쳐 서울신학대학교 국제회의실에서 열린다. <포스트휴먼/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주제 아래 참석자들은 ‘인간을 초월하는 인간’을 신학적 차원에서 고찰하게 될 것이다.

김성원 교수(서울신대)의 사회로 시작될 첫째 세션에서는 김은혜 교수(장신대)와 Volker Lepin 교수(튀빙겐대학교)가 발제를 한다. 다가오고 있는 AI 시대에 인간이해에 대한 기독교윤리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성육신적 인간주의 관점과 탈인간(종)중심주의적 담론을 “포스트 휴먼 시대의 기독교윤리: 존재론적인 관계성에 기초한 되기의 기독교윤리”라는 주제로 김은혜 교수(장신대)교수가 발제를 맡았고, “인간을 초월하는 인간- 그리스도교의 신비 전통에 관한 고찰”이라는 주제로 Volker Lepin 교수(튀빙겐대학교)교 발제를 한다.

박창훈 교수(서울신대)의 사회로 진행될 둘째 세션에서는 “모순도 시대착오도 아니다: 르네상스 포스트휴머니즘과 토마스 모어(Thomas More)의 『유토피아』(1516)”라는 주제로 Wiliam Purinton 교수(서울신대)가,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라는 주제로는 백충현 교수(장신대)가 발제를 맡았다.

둘째 날 오전에 이어질 셋째 세션에서는 문병구 교수(서울신대)의 사회로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의 하나님 체험–랍비 유대교의 묵시 전통과 신비전통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는 튀빙겐대 신약교수 겸 신대원장인 Michael Tily (튀빙겐대), 문우일 교수(서울신대)는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요한복음의 로고스와 필론의 누스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요한복음의 로고스(LÓGOS)와 필론(Philo of Alexandria)의 누스(NOÛS) 개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피고, 그런 개념들이 오늘날에 어떤 의미로 읽힐 수 있는지 논하게 된다.

서울신학대학교는 지난 2014년 7월 독일의 튀빙겐 대학교와 학술교류협약식을 통해 학술교류 및 학생 교류를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그 후 지속적인 학술교류활동을 전개해 왔다. 이번 제6차 『한독신학심포지엄』을 통해 포스트휴먼 이해의 신학적인 장정이 펼쳐지길 바란다.

아래는 『한독신학심포지엄』 전문이다.

2019 German-Korean

THEOLOGICAL SYMPOSIUM

6th Annual Meeting

POSTHUMAN/POSTHUMANISM

SEP 27, 14:30-18:00 ~ SEP 28, 10:00-12:00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International Conference Hall / Hohyeon-ro 489 Beon-Gil 52

BuCheon-Si, GyeongGi-Do, Korea

OPENING CEREMONY SEP 27, 14:30-14:50

14:30 Opening Remarks Prof. In Sik Choi, STU Symposium Committee Chair

14:40 Welcoming Remarks Prof. Duk-Hyung Hwang, STU President

14:45 Congratulatory Remarks Prof. Sung Bihn Yim, PUTS President

14:50-15:00 Break

SESSION 1 SEP 27, 15:10-16:20

Prof. Sungwon Kim (STU), Presiding

15:10 Prof. Un Hey Kim (PUTS), The Alternative Ethics in Posthuman Age: Christian Ethics of Becoming based on the Ontological Relationality

15:40 Prof. Volker Leppin, (Tübingen), The Human Being beyond Itself – Reflections on Mystical Tradition in Christianity

16:10 Discussion

SESSION 2 SEP 27, 16:50-18:00

Prof. Chang Hoon Park (STU), Presiding

16:50 Prof. William Purinton (STU), Neither Oxymoron nor Anachronism: Renaissance Posthumanism and Thomas More’s Utopia (1516)

17:20 Prof. Chung-Hyun Baik (PUTS),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17:50 Discussion

SESSION 3 SEP 28, 10:00-11:20

10:00 Prof. Byeung Goo Moon (STU), Presiding

10:10 Prof. Michael Tilly (Tübingen), Gotteserfahrung in dieser und in jener Welt – Apokalyptik und Mystik im rabbinischen Judentum

10:40 Prof. Wooil Moon (STU), What Makes Human Beings Human? The Johannine

LÓGOSvs.Philo’sNOÛS

11:10 Discussion

11:20 Break

3-MINUTE Free SPEECHES SEP 28, 11:30-12:10

Prof. In Sik Choi (STU), Presiding

Prof. Sung Kyu Park (PUTS) Prof. Young Sik Park (STU)

Prof. V. Leppin (Tübingen) Prof. Un Hye Kim (PUTS)

Prof. Hyun Jong Choi (STU) Prof. M. Tilly (Tübingen)

Prof. Chung-Hyun Baik (PUTS) Prof. Byeung Goo Moon (STU)

Prof. Sam Kyung Park (STU) Prof. Chang Hoon Park (STU)

Prof. Sung Hyun Oh (STU) Prof. Sungwon Kim (STU)

SESSION 1 SEP 27, 15:10-16:20

Prof. Sungwon Kim (STU), Presiding

15:10 Prof. Un Hey Kim (PUTS)

The Alternative Ethics in Posthuman Age: Christian Ethics of Becoming based on the Ontological Relationality

포스트 휴먼 시대의 기독교윤리: 존재론적인 관계성에 기초한 되기의 기독교윤리

This paper, in the context of posthuman, intends to respond to what is human as a subject of moral reasoning and ethical agency,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examine the discourses of humanism emerging in the post-human era, and construct Christian ethics of becoming based on incarnational humanism. I will also discuss the subjectivity of difference and its ontological rela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Christian ethics of becoming by analyzing the various changes that posthuman entities must live.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formation of the agential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theology and suggests the ethics of affirmation as a process of embodiment based on body, desire, and materi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rom the Christian ethics point of view is to explain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who still have to fulfill the positive transformation of the worldin order to actively participate and respond responsibly in the posthuman’s non-anthropocentric discourse in an intertwined relationship where everything is entangled.

포스트휴먼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이 인문학계뿐 아니라 기술과학 분야와 문화예술 분야까지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포스트휴먼 담론의 중심에 인간이해에 대한 뜨거운 논쟁과 함께 인간주의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이 공존하고 있다. 본 논문은 포스트휴먼의 맥락에서 도덕적 사유와 윤리적 행위주체로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응답하며 포스트휴먼 시대 다시 부상하는 인간주의의 담론들의 지형을 살피고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새로운 인간주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성육신적 인간주의에 기초한 되기의 기독교윤리(ethics of becoming)를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휴먼 개체들이 살아가야 하는 다양한 변화들을 분석하면서 성육신적 인간주의의 관점에서 되기의 기독교윤리의 핵심적이 준거가 되는 차이의 주체성(subjectivity of difference)과 존재론적 관계성(ontological relation)을 중요개념으로 다룰 것이다. 특별히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신물질주의와 행위적 주체형성을 강조하며 성육신적 신학에 기초한 긍정의 윤리를 제안한다.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성은 포스트휴먼의 탈인간(종)중심주의적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책임적으로 응답하기 위하여 모든 것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지구행성적 관계 속에서 여전히 세계긍정의 변혁을 수행해야 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Trnaslated by Prof. Un Hey Kim

15:40 Prof. Volker Leppin, (Tübingen)

The human being beyond itself – reflections on mystical tradition in Christianity

인간을 초월하는 인간- 그리스도교의 신비 전통에 관한 고찰

Looking for a spirituality that reflects human beings being beyond themselves as reflected in the symposium, one easily comes to mysticism. Actually, this has often been suspected not to be a Christian or at least a protestant option. The paper will show that there are reasons in Paul to see mysticism as founded in the Bible itself. It follows the line of Christian mysticism from late antiquity through the Middle Age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liturgical transcending of human being in Pseudo-Diony and the Christological transcending of human being in Bernard and John Tauler. Then it will show how protestant thinkers as Martin Luther and John Wesley themselves became part of this mystical tradition. At the end it has an outlook to mysticism as a present and future opinion for protestants and Christians in general to get free from bonds to the world and to give power for not only transcending, but also transforming it.

이번 심포지엄 주제인 ‘인간을 초월하는 인간’을 다루는 영성을 탐색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신비주의에 도달하게 된다. 내 논문은 신비주의가 정경에서, 특히 바울서신에서, 발견된다고 할 만한 이유들이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 논문은 고대 후기부터 중세까지 이어지는 그리스도교 신비주의 노선을 살피되, 특히 의(擬)-디오니(Pseudo-Diony)의 철학적-예전적 초월 인간 개념과 버나드(Bernard) 및 토일러(Tauler)의 그리스도론적 초월 인간 개념에 주목하겠다. 이어서 루터(Martin Luther)와 웨슬리(John Wesley) 같은 개신교 사상가들이 어떻게 이런 신비주의 전통의 일부를 형성했는지를 보여주겠다. 마지막으로, 개신교도들과 그리스도교도들 일반이 세상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롭고 세상을 초월할 뿐 아니라 세상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발휘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현재와 미래의 신비주의를 전망하겠다.

Translated by Prof. Wooil Moon

16:10-20 Discussion

SESSION 2 SEP 27, 16:50-18:00

Prof. Chang Hoon Park (STU), Presiding

16:50 Prof. William Purinton (STU)

Neither Oxymoron nor Anachronism: Renaissance Posthumanism and Thomas More’s Utopia (1516)

모순도 시대착오도 아니다: 르네상스 포스트휴머니즘과 토마스 모어(Thomas More)의 『유토피아』(1516)

As much as postmodernity does not attempt to denigrate or deny the role of modernity in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so posthumanism is not a censoring or erasing of literary works from the Renaissance, but a means of carefully discerning and signifying how the humanities that developed in the sixteenth century provide a fuller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the role being played within the twenty-first century. Renaissance posthumanism describes a trend among scholars of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y literature to expand the view of humanity’s role in not only society (and in More’s text an idealized or utopian role) but in the cosmos. Utopian literature, more broadly understood from its advent in the sixteenth century, both challenges the status quo of contemporary views inherent in political, religious, and social philosophies, and further empowers prophets and visionaries to begin reconstruction of a new civilization based upon the designs and contours of the idealized pattern within his literary text. Indeed, Thomas More’s Utopia (1516) can be read as a lens through which we can view themes of posthumanism developing around the construct of a utopian community both within and beyond the literary text itself.

현대의 문화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현대성의 역할을 깎아내리거나 거부하는 것이 아닌 것처럼, 포스트휴머니즘은 르네상스의 문학 본문을 검열하거나 지우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포스트휴머니즘)은 16세기에 발전된 휴머니즘이 어떻게 인간성을 더 풍부하게 이해하도록 도왔고, 21세기에는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주의 깊게 판별하여 알리는 수단이다. 르네상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관이 사회(그리고 모어의 본문에서는 이상적인 유토피아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우주로 확대되도록 한 15세기와 16세기의 문학가들의 경향을 나타낸다. 16세기 출현으로부터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자면, 유토피아 문학은 정치철학, 종교철학, 사회철학에 내재된 동시대의 상황에 도전하고, 더 나아가 예언자들과 공상가들에게 문학 본문에서 이상적으로 형성된 구도와 형태에 기초한 새로운 문명을 재구성하도록 힘을 부여한 것이다. 실제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1516)는 문학 본문 자체와 그 너머에서, 우리가 유토피아 공동체를 건설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주제들을 볼 수 있는 렌즈로 읽을 수 있다.

Translated by Prof. Chang Hoon Park

17:20 Prof. Chung-Hyun Baik (PUTS)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

Today we are facing an era of posthumanism. Posthuman refers to a human person in a state beyond being human, and posthumanism means an ideology or a movement that seeks to be in a human state beyond being human. In this radical change of society, how can we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In the last sentence of his book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Yuval Noah Harari, referring to homo sapiens as “the animal that became a god,” raises a question, “Is there anything more dangerous than dissatisfied and irresponsible gods who don’t know what they want?” And in his next book Homo Deus: A Brief History of Tomorrow, he expects that humans would seek immortality, happiness, and divinity to be deus, but at the same time that humans would be mere algorithms and data-processing in data religion.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paper argues that we would still be able to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not only because humans could not be completely resolved into algorithms or data-processing, but also because relations within humans and beyond humans would be very necessary even in such a posthuman era.

오늘날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이란 현재의 인간됨을 넘어서는 상태에 있는 인간을 가리키고,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그러한 인간됨의 상태가 되도록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을 의미한다. 사회의 이러한 철저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유발 노아 하라리는 자신의 책 『사피엔스』의 마지막 문장에서 호모 사피엔스를 “신이 된 동물”이라고 표현하면서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불만스러워하며 무책임한 신들, 이보다 더 위험한 존재가 또 있을까?”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그의 다음 책 『호모 데우스-미래의 역사』에서 인류가 불멸과 행복과 신성을 추구하는 신이 되고자 할 것이지만, 동시에 인류는 데이터 종교 안에서의 단순한 알고리듬과 데이터처리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서 본 논문은 우리가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여전히 말할 수 있을 것임을 주장한다. 인류가 알고리듬 또는 데이터처리로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또한 인간들 사이에서 관계들 및 인간들 너머의 관계들이 그러한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서조차 매우 필수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Translated by Prof. Chung-Hyun Baik

17:50-18:00 Discussion

SESSION 3 SEP 28, 10:00-11:20

10:00 Prof. Byeung Goo Moon (STU), Presiding

10:10 Prof. Michael Tilly (Tübingen)

Gotteserfahrung in dieser und in jener Welt – Apokalyptik und Mystik im rabbinischen Judentum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의 하나님 체험 – 랍비 유대교의 묵시 전통과 신비전통을 중심으로

Erlangt Religion ihre eigentliche Autorisierung entweder durch Vernunft oder durch Erfahrung? Das Problem des Verhältnisses von „vernünftiger“ intellektueller Erkenntnis des Willens Gottes mittels menschlicher Aktivität und „erlebter“ sinnlich unmittelbar wahrgenommener Gotteserfahrung begegnet auch im Zusammenhang mit der jüdischen Mystik. In ihr kommt das fromme Bewusstsein einer unmittelbaren Gegenwart Gottes zum Ausdruck. Sie ist Theosophie insofern, als es ihr darum geht, die Geheimnisse der verborgenen Existenz Gottes aufzudecken. Inhalt des Vortrags ist die Darstellung des komplexen Verhältnisses zwischen außerweltlicher mystischer Erfahrung und innerweltlichem Torastudium in der rabbinischen Tradition, insbesondere in ihren apokalyptischen und mystischen Überlieferungen. Dabei soll gezeigt werden, dass die Dichotomie „Vernunft vs. Erfahrung“ das komplexe Verhältnis zwischen Toraobservanz und mystischer Frömmigkeit im spätantiken und frühmittelalterlichen Judentum nicht zu erfassen vermag.

종교가 실질적 권위를 얻는 것은 이성을 통해서인가 체험을 통해서인가? 인간 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의 뜻에 관한 “이성적인” 인지적 지식과, 직접 감각들로 “체험되는” 하나님 체험 사이의 관계 문제가 유대 신비주의 맥락에도 나타난다. 그것은 하나님의 즉각적 현존의 경건한 자각을 표현한다. 하나님의 숨겨진 존재의 비밀들을 드러내는 것에 관한 것인 한 그것은 신지학(theosophy)이다. 강의의 중심은 랍비 전통에서, 특히 묵시 전통과 신비 전통에서, 세상밖의 신비 체험과 세상 안의 토라 공부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관한 발표에 있다. 이 발표는 고대 후기와 이른 중세의 유대교 안에서 이성 대 경험/체험, 토라 준수와 신비적 경건 사이의 이분법은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Translated by Prof. Wooil Moon

10:40 Prof. Wooil Moon (STU)

What Makes Human Beings Human? The Johannine LÓGOSvs.Philo’sNOÛS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요한복음의 로고스와 필론의 누스를 중심으로

The aspiration to push oneself beyond ordinary human categories and limits is not a new phenomenon as of today, but one that has probably existed since the advent of humans, as suggested by the story of the fall in Genesis 3. Regarding those notions of the ancient world that denote such aspi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LÓGOS in the Fourth Gospel and NOÛS in Philo of Alexandria, and how those notions can still generate meanings in the contemporary age. Philo represents the first century Jewish intellectuals of Alexandria as a middle Platonist and biblical exegete contemporary of Jesus and his disciples, and many of his works and exegetical methods have survived and been communicated by Christian intellectuals rather than by the Jews or pagan philosophers. Both the Fourth Gospel and Philo inherited the Old Testament and Jewish tradition and were also influenced by the Greco-Roman tradition, but they do not completely agree with each other in the view of human essence and ideal human beings. Philo presents Moses as the pure NOÛS and most intimate with God while the Fourth Gospel sees Jesus as the Logos Incarnate and only-begotten son of God.

창세기 3장의 이야기가 암시하듯이, 평범한 인간의 범주와 한계를 넘어 더 나은 인간이 되려는 인간의 열망은 오늘날의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인간 출현 직후부터 계속된 현상이다. 이 논문은 요한복음의 로고스(LÓGOS)와 필론(Philo of Alexandria)의 누스(NOÛS) 개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피고, 그런 개념들이 오늘날에 어떤 의미로 읽힐 수 있는지 논하고자 한다. 필론은 1세기 알렉산드리아 유대 지성인들을 대표하는 중-플라톤 학자이자 성서주석가로서 예수 및 제자들과 동시대에 살았는데, 그가 남긴 다수의 작품들과 주석 방법론들은 유대인들이나 세속 철학자들이 아닌 기독교 지성인들에 의하여 보전되었다. 요한복음과 필론은 모두 구약성서와 유대 전통을 물려받았고 그리스-로마 전통의 영향을 받았으나, 인간의 본질과 이상적 인간에 관하여는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필론은 모세를 하나님과 가장 가까운 순수 정신으로 묘사하는 반면에 요한복음은 예수를 하나님의 독생자이자 성육신한 로고스로 제시한다.

Translated by Prof. Wooil Moon

11:10 Discussion

11:20 Break

3-MINUTE FREE SPEECHES SEP 28, 11:30-12:10

Prof. In Sik Choi (STU), Presiding

Prof. Sung Kyu Park (PUTS)

Prof. Young Sik Park (STU)

Prof. Volker Leppin (Tübingen)

Prof. Un Hye Kim (PUTS)

Prof. Hyun Jong Choi (STU)

Prof. Michael Tilly (Tübingen)

Prof. Chung-Hyun Baik (PUTS)

Prof. Byeung Goo Moon (STU)

Prof. Sam Kyung Park (STU)

Prof. Chang Hoon Park (STU)

Prof. Sung Hyun Oh (STU)

Prof. Sungwon Kim (STU)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