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_ 이야기 나그네신학, 베드로서_희망의 가르침

베드로서_노마드로 읽다!

성경 속 그리스도인 정체성을 사무치게 드러낸 나그네신학, 위로와 희망의 가르침

오늘 우리의 삶은 도시 중심적이다. 함께 모여 사는 도시를 기반으로 편의를 제공하는 곳이 좋은 생활의 터전으로 인식하고 있다. 잠시 도시를 떠나는 것은 휴가나 여행 정도의 떠남이지 도시를 떠나는 삶을 불편하거나 밀려난 인생으로 여긴다. 흩어지지 않으려 한다. 심지어 주거공간과 사무실과 쇼핑공간을 하나로 묶는 오피스텔이 인기다. 하나님은 흩으시지만 인간은 다함께 모여 또 하나의 바벨탑 같은 문화를 이루는 것을 반복한다. 낮아지기 보다는 높아지기를 원한다. 그것은 소위 유명세와 교묘히 맞닿았다.

유목민으로 나그네로 이 땅에 소망을 두지 않고 철저히 하나님을 의지했던 그 노마드 정신이 오늘 현대교회에서는 너무도 많이 사라졌다. 교회가 쇠락한 문제를 세상이 주는 안락함에 사람을 빼앗겼다고 생각을 해서, 세상보다 더 안락한 시설을 짓고 세상도 깜짝 놀랄 값비싼 시스템들로 성도를 서비스한다. 예배로의 서비스가 아니라 물질이 주는 서비스다. 노마드적 경험은 멀리 비행기를 타고 잠깐 즐기다 오는 해외비전트립으로 만족한다.

바로 이런 성경 적 DNA를 잃은 현대교인들에게 배경락 목사는 나그네신학의 관점으로 베드로전후서를 다시 펼치게 한다.

 

prologue

“어릴 적, 아버지를 따라 나는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서울을 옮겨 다니며 살았다. 결혼하고 나서도 필리핀과 한국과 미국을 떠돌며 생활하다 보니 내 안에 나그네 DNA가 숨어 있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

“아브라함이 고향을 떠나 나그네 삶을 살았던 것처럼 그의 후손인 이삭, 야곱, 요셉도 노마드로 살았다. 애굽의 노예로 핍밥받는 이스라엘 역시 나그네로 살았다. 그들에 세울 나라도 그냥 세상 제국과 같은 나라가 아닌, 함께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 새로운 하나님 나라였다. 하나님은 끊임없이 도전하였다. 너희는 이 세상 나라 사람이 아니다. 너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다. 그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세움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라. 느헤미야, 에스더, 다니엘, 예수 그리스도, 바울, 베드로, 초대교회 모두가 노마드의 삶을 살았다.”

 

성경 전체는 온통 나그네 이야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중심 주제이다

성경은 ‘흩어진 나그네’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창세기부터 시작되는 원 역사, 아브라함 같은 믿음의 족장들, 출애굽 사건, 광야 이후 가나안 정착, 왕정 시대 후 포로기, 그리고 열방에 흩어진 디아스포라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저자는 초대교회 성도들과 다름없이 나그네된 우리에게 희망과 위로,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는 개혁의 새 길을 안내한다.

베드로서를 일상 언어로 안내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 오늘을 말한다

이 땅에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정확하게 가슴 아프게 말하고 있다. 노마드 프리즘으로 재해석한 저자의 베드로서는 단순 주석서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베드로서의 나그네신학을 선교의 관점에서 현실성 있게 실천적으로 도전하게 한다. 성경의 가르침을 폭넓게 인식하게 한다. 목회자와 신학생은 물론 성도들이 읽고 함께 나누는 책이다.

흩어진 나그네, 노마드의 궤적을 지닌 저자, 그 부르심에 대하여

베드로전후서의 진리를 ‘나그네’로서 바르게 인식하게 하고, 그 부르심이 얼마나 놀라운 선물인지 말하고 있다. 베드로서 가르침이 이 시대에 꼭 필요한 통찰임을 깊이 있는 말씀 묵상, 폭넓은 지식과 지혜로 전하며, 교회를 향한 아픔과 사랑에 공감하게 한다. 세상의 신분과 지위와 상관없는 나그네의 정체성에 기초한 삶일 때 그리스도인이라고 하는 저자는 한국과 필리핀, 미국이라는 삶의 궤적을 지나면서, 선교하고 목회하고 가르치면서 ‘흩어진 나그네’임을 증거한다.

 

저자 소개 >>>

배경락

배양찬 목사와 한옥수 사모 사이의 맏아들로 태어난 저자는 목사 되기를 원했던 부모의 뜻을 따라 믿음과 기도로 엄격하게 성장했다. 사춘기에 기독교에 회의를 느껴 불교, 허무적 실존주의 등 비기독교적 사상에 심취하고, 문학과 철학에 심취하면서 다양한 책을 섭렵하였다.

총신대학교에 아버지의 강요로 입학한 저자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보수 신학에 답답함을 느끼고, 당시 교수들이 비판하는 독일 신학, 토착화 신학, 여성 신학 등 다양한 학문을 탐닉하면서 이들이 왜 비판받는지 연구하였다. 보수 신학을 공부하면서도 칼 바르트, 본 회퍼, 구티에레즈, 한스 큉 등의 저서를 탐구하면서 사상의 폭을 넓혀 갔다.

그는 목회 초기 4년간 필리핀 선교사로 섬겼으며, 서울 은평구 신사동 서북교회에서 20년간 담임 목회를 하면서 백석신학대학원에 출강하였고, 지금은 미국 로고스교회 협동 목사로 섬기고 있다.

그는 계속하여 인문학적 성경 읽기와 선교적으로 성경 해석하기 작업을 시도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 저서는 포토 에세이 『곧게 난 길은 하나도 없더라』, 이야기 역사신학 『성경 속 왕조실록』, 이야기 나그네신학 『성경 속 노마드』가 있으며, 현재 요한계시록을 선교적으로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목차 >>>

책머리에

추천사

프롤로그 인류의 역사는 흩어짐의 역사이다

 

PART 1 흩으심의 역사

01. 하나님의 문화 명령 _20

02. 떠남, 흩어짐, 낮아짐 _26

03. 나그네 신앙의 모범, 요셉 _33

04. 하나님 나라의 동력, 광야 생활 _40

05. 변화된 삶이 복음의 가치를 드러낸다 _47

06. 이주 사회의 다니엘 사상 _51

07. 언어와 문화와 종교와 국경 너머 _57

08. 복음을 위한 디아스포라, 나그네 _64

 

PART 2 베드로서에 관한 7가지 질문

01. 저자는 베드로인가? _70

02. 다섯 지역은 어디인가? _75

03. 베드로서 수신자는 누구인가? _80

04. 지도자 베드로의 리더십은? _85

05. 베드로의 인종적 회심이란? _94

06. 베드로서의 사회적 책임이란? _100

07. 베드로후서는 거짓 뉴스? _105

 

PART 3 희망의 가르침, 베드로전서

01. 흩어진 나그네 베드로전서 1:1-1:10 _112

02. 기독교는 나그네의 종교 베드로전서 1:11-25 _119

03. 하나님과 함께하는 모험 베드로전서 2:1-10 _126

04. 그리스도인 정체성과 살아남기 베드로전서 2:11-25 _132

05. 초대교회가 여성에게 보인 태도 베드로전서 3:1~6 _139

06. 나그네 신학 베드로전서 3:8-22 _147

07. 공유 리더십, 수평적 리더십, 관계형 리더십 베드로전서 4:1-10 _152

08. 고난과 고통에 대하여 베드로전서 4:11-19 _159

09. 나그네의 리더는 낮은 자리 베드로전서 5:1-10 _164

10. 부활의 신앙, 종말론적 신앙 베드로전서 5:11-14 _171

 

PART 4 교회를 향한 편지, 베드로후서

01. 약자의 종교여야 한다 베드로후서 1:1-4 _178

02. 부르심과 택하심 베드로후서 1:5-10 _185

03. 실천하지 않는 진리는 진리가 아니다 베드로후서 1:12-15 _192

04. 우리가 종교개혁을 오해했다? 베드로후서 1:16-17 _199

05.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께서 이루신다 베드로후서 1:17~21 _206

06.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베드로후서 2:1-5 _214

07. 도시 속 나그네 베드로후서 2:6-8 _221

08. 마라나타 베드로후서 3:3,5,9 229

09. 십자가 정신과 하나님 나라 베드로후서 3:11-17 237

10. 마지막 인사, 영광 받으소서 베드로후서 3:18 244

 

추천사 중에서 >>>

-현대인의 삶도 그 본질은 나그네의 삶이다. 저자의 글은 위로와 희망을 주고, 한국교회가 잃어버린 오래 된 새 길을 찾게 도와준다. 김의원 총장 | 총신대 전 총장, ATEA 대학원 총장

-단순 주석서가 아니라 인문학적 풍부한 자료와 상상력을 동원하여 베드로서의 나그네신학을 현실성 있 게 재구성한 예술 사진과 같다. 성경의 가르침을 다층적으로 현시하는 저자의 역량에 경탄한다. 류호준 목사 |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은퇴교수

-이 책은 하나님의 사명을 조명하는 선교학적 통찰이 돋보인다. 나그네 길을 걸어가는 그리스도인에게 베드로의 권면은 한 가지. 진리 위에 굳건히 서라! 이 책은 진주와 같다. 이 진주들을 모두 사라! 임윤택 교수 | William Carey International University 교수

-흩으심은 징계가 아니라 하나님의 도구이다. 저자 배경락 목사는 『성경 속 왕조실록』에 이어 『성경 속 노마드』를 통해 나의 삶과 목회를 돌아보게 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새 방향을 설정하게 한다. 차종율 목사 | 새순교회 담임 Ph.D.

-『성경 속 노마드』는 한국 교회에 대한 예리한 시각, 깊은 묵상, 폭넓은 독서와 적절한 인용, 그리고 실천 적 도전이 돋보인다. 안건상 교수 | 풀러신학대학원 ‘성경과 선교’ 교수

-‘흩어진 나그네’ 개념은 성경을 대하는 틀, 훌륭한 도구이다. 필리핀과 한국과 미국이라는 삶의 궤적을 지나면서 나그네 됨을 체험한 저자는 이 책에서 나그네 된 자리와 그 부르심이 얼마나 놀라운 하나님의 선물인지를 확인하게 한다. 김신일 목사 | LA 유니온교회 담임목사

-저자의 폭넓은 사유와 인문학적 깊이가 역력한 이 책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는 흩어진 그 리스도인의 삶, 부르심에 응답하는 그리스도인임을 상기시킨다. 조은아 교수 | 풀러선교대학원 교수

-예수님께서도 하늘 시민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이 땅에서 나그네로 사셨다. 제자 베드로는 나그네로 살 아가는 형제들에게 바른 길을 제시한다. 신동수 목사 | 로고스교회 담임

 

 

책 속으로 >>>

나는 세속의 학자들인 니어링이나 들뢰즈나 아탈리의 충고에서 하나님의 일반 은총적 지혜를 발견한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삶은 정착민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데 자기 생을 바칠 것이 아니라, 어떤 공간이든지 그곳을 재창조하여 함께 더불어 살며 사랑을 나누고, 시간을 나누고, 마음을 나누고, 신앙을 나누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진정한 노마드는 그리스도인이다. _저자의 말 중에서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인류의 역사는 흩어짐의 역사다. 하나님께서는 창세기에서 이미 땅끝까지 흩어지는 나그네(증인)의 사명을 생각하셨다. 하나님의 흩으심 원리를 잘 이해한다면, 성경이 훨씬 쉽게 읽히고, 우리 인생을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_24쪽 중에서

아브라함은 나그네 앞에 엎드렸고 그의 발을 씻겨주며 정성껏 대접하였다. 누가 주인이고 누가 나그네인지 모를 정도다. 아브라함은 지나가는 모든 나그네(사람) 모습에서 하나님을 발견하였다._30쪽 중에서

나그네로서 가장 험악한 삶을 살았던 사람은 요셉이다. 고대에 나그네로 전락하는 경우는 보통 전쟁 포로가 되거나, 가난이나 다른 연유로 노예가 된다. 요셉은 자기 형제들의 손에 의해 인신매매당한 노예였다. 그는 삶을 송두리째 뽑혀 전혀 다른 문화와 언어와 풍습에 던져졌다. _34쪽 중에서

하나님께서는 이집트 노예로 살던 그들을 구원하심으로 이스라엘 역사를 시작하셨다. 우리는 구원, 자유, 해방에만 지나치게 관심을 두지만, 하나님의 구원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구원한 이후 시내산에서 언약을 맺으면서 언약 백성, 언약 공동체를 만드셨다. 그것은 인간 제국의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공동체였다. _42쪽 중에서

유발 하라리 같은 학자는 이제 국경은 의미 없어지고, 세계는 자본주의 정신 아래 하나 될 것으로 예측한다. 이슬람 국가이든, 북한 정권이든 어디든 돈의 논리 앞에 굴복한다. 사람들은 더 나은 삶을 향하여 이주하고 있다. _51쪽 중에서

예수님은 이 땅에서 자신이 나그네임을 누구보다 분명하게 인식하였다. 마태는 예수님의 족보에 의도적으로 다말과 라합과 롯을 삽입하였다. 그것은 순혈주의를 강조하는 유대인들에게 주는 메시지이다. _57쪽 중에서

베드로는 편지에서 밝혔듯이 나그네 된 그리스도인을 대상으로 편지를 썼다. 그들은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요, 정착민과 달리 사회 경제적으로 불평등과 억압을 받던 약자들이었다. 그런데도 베드로는 그들을 향하여 “너희는 왕 같은 제사장”이라 선언하였다. _70쪽 중에서

베드로는 본도(Pontus)를 시작하여 갈라디아(Galatia), 갑바도기아(Cappadocia)로 내려가서 서쪽 해안지역인 아시아로 갔다가 서북쪽 비두니아(Bithynia)를 언급함으로써 터키를 한 바퀴 도는 형식을 취하였다. 이 다섯 개 지역은 각기 언어와 문화와 풍토가 다르다. 놀라운 사실은 불과 100년이 안 된 시점에 기독교가 이렇게 널리 퍼졌다._75쪽 중에서

베드로는 이방 선교의 신학적이며 이론적 근거를 확실하게 천명하였다. 흔히 이방 선교는 바울이 문을 연 것처럼 오해하지만, 사실은 베드로다. 하나님께서는 베드로를 통하여 사마리아 선교의 문과 이방 선교의 문을 여셨다. _97쪽 중에서

초대교회는 혁명보다 개혁을 선택하였다. 바울과 베드로는 여성해방이나 노예 해방을 말하지 않았다. 만일 그들이 현대적 인권 개념을 말했더라면, 기독교는 지금까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기독교는 단번에 모든 것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다. 주어진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언제나 개혁 정신을 가지고 시대를 이끌어야 한다. _103쪽 중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서로 진실을 말하면서도 그것을 믿지 못한다면, 함께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했다. 진리는 진실하게 전달할 때 힘이 있는 법이다. 결코 거짓이 진리를 전달할 수 없다. 베드로후서는 거짓을 경계하고 진실함으로 진리를 전달하는 편지이다. 그런 편지를 거짓으로 몰고 가려는 현대 성경학자들은 어떤 사람들인가?_109쪽 중에서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진 나그네들은 기독교 제국을 꿈꾸지 않았다. 모든 사람이 머리 숙여 세례받는 꿈을 꾸지 않았다. 그들은 한 명이라도 좋으니 참되고 진실한 그리스도인을 원하였다. _117쪽 중에서

아담을 저주한 창세기 말씀을 근거로, 중세 교회는 노동을 하나님의 저주라고 생각하였다. 실제로 중세 사회에서 노동자는 사회적으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는 노동의 고귀함을 설교하였다. 츠빙글리는 속죄의 노동이 아닌 기쁨의 노동을 가르쳤다._127쪽 중에서

여성 인권은 불과 100년 전에나 거론되기 시작했고, 여성해방운동은 최근에 와서야 일어난 운동이다. 2,000년 전 베드로나 바울이 여성해방적 시각을 가지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은 정말 그 시대 상황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말이다._141쪽 중에서

지금까지는 삶의 목적도 방향도 없이 살았지만,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여 방황하였지만, 이제 저들은 하나님께 소명받은 자의 삶을 살게 되었다. 세상 나라를 세우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세우기 위하여 부름받았다. 그러므로 고난은 십자가이며 영광이다. “만일 그리스도인으로 고난을 받으면 부끄러워하지 말고 도리어 그 이름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벧전 4:16) _163쪽 중에서

베드로는 약자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첫걸음으로 “하나님을 알라”고 권면한다.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하나님이 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고히 하라고 권면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그를 앎으로 말미암아 생명과 경건에 이르게 하는 모든 것을, 그의 권능으로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부르셔서 그의 영광과 덕을 누리게 해 주신 분이십니다.”(벧후 1:3 새번역) _181쪽 중에서

자랑할 것 하나 없는 나그네, 점점이 흩어져 어렵게 살아가는 나그네들에게 베드로는 그리스도인이 누구인지, 그리스도인의 삶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가르쳤다. 그것을 반복하여 새기므로 실족하지 않을 수 있다. _189쪽 중에서

창세기가 쓰일 당시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사람(남자와 여자)을 이야기했다는 것이 얼마나 혁명적인지 기억해야 한다. 당시 신의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제국의 통치자뿐이었다. 이집트나 아시리아, 바빌론 같은 대 제국의 왕들뿐이었다. 그런데 창세기는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자녀라고 선언한다. _209쪽 중에서

베드로후서 2장 1절에서 3절까지 이단을 규정하는 본문이 나온다. 잘 살펴보면 이단은 딱 한 가지였다. 주를 부인하는 자들이다. 그들은 구약시대 나타났던 거짓선지자들과 같은 자들이다. 베드로는 구약시대 거짓선지자나 초대교회 거짓 선생은 한결같이 주를 부인하는 자였다._215쪽 중에서

베드로는 롯을 의롭다고 평가하였다. 그가 의롭다고 평가받은 이유는 그가 소돔과 고모라의 불법한 행실을 보고 마음이 상하였기 때문이다. _225쪽 중에서

베드로 사도가 이름없고 힘없는 나그네 그리스도인들에게 기대하고 확신하는 이유는 이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마지막 인사는 형식적이거나 의례적이지 않다. 그의 인사는 마지막 날까지 생명력 있게 움직이는 강력한 힘이다. “여러분이 우리의 주님이시며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을 입고 또 그분을 앎으로써 계속 자라나기를 바랍니다. 이제와 또 영원토록 그분께서 영광을 받으시기를 빕니다. 아멘.”(벧후 3:18, 공동 번역)_247쪽 중에서

 

 

관련기사

저작권자 © 본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